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만성 간장 질환자에서 뇌 MRI 상의 pallidal index와 생물학적 망간지표들 간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Biological Indices of Manganese with Pallidal Index on MRI in Liver Cirrhotics

목적: 만성 간장 질환자를 대상으로 T1 강조 자기 공명영상(MRI)에서 나타나는 담창구 부위의 고신호강도 소견(pallidal index, PI)과 생물학적 망간 지표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본다. 방법: B형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으로 진단 받은 40세 이상의 환자 31명과 정상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혈액 및 소변검사, 뇌 MR를 시행하였다. 전체 41명 가운데 검사 전 수혈을 받았던 환자군 9명을 제외하고 전체 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망간 축적에 관련된 객관적 지표로서 T1 강조 MRI에서 나타나는 담창구 부위의 고신호 강도를 전두부 백색질 신호강도로 나눈 수에 100을 곱하여 구한 P I를 택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의 P I와 망간농도들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여러 변수들과 PI와의 상관성을 보기 위해서는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간장 질환자 22명 가운데 18명(81.8%)에서 뇌 MRI 상 고신호강도가 나타났다. 대조군 10명에서는 아무도 MRI 소견상 고신호강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장 질환자에서의 평균 PI는 122.62로 대조군의 106.23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간장 질환자의 전혈에서 망간농도는 2.34 ㎍/㎗으로 대조군의 1.44 ㎍/㎗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혈장과 소변 내 망간농도는 대조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혈색소, 빌리루빈, AST가 대조군과 환자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전혈(ρ=0.489, P<0.01, n=29)과 적혈구(ρ=0.573, P<0.01, n=22) 내 망간농도와 PI 사이에는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혈장과 소변 내 망간 농도와 P I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총빌리루빈 또한 P I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ρ=0.509, P<0.01, n=32). 결론: 전혈 또는 적혈구 내의 망간 농도가 뇌 내망간 침착으로 인한 T1 강조 MRI상 담창구 부위의 고신호 강도를 잘 반영하는 유용한 지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