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공구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산업보건상의 주요 문제점은 손가락 및 손의 말초혈관과 말초신경 계의 장애이다. 진동에 의해 발생한 징후와 증상은 통증, 저림, 손가락의 창백해짐, 이상 감각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징후와 증상을 총 칭하여 수지진동 증후군(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다른 용어로 직업기인성 레이 노병(occupation induced Raynaud disease), 진 동 백지증(vibration induced white finger)이라 고 부른다. 미국에서는 145만 명의 작업자가 진동공구를 사용 한다고 추정되고 있고 진동공구를 사용하는 노동인구 에서 수지진동 증후군의 유병률은 평균 50%로, 6% 에서 100%의 범위를 보이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NIOSH, 1997). 또한 외국에서는 수지진동 증후군 을 유발시키는 다양한 요인, 즉 공구에 의해 발생되 는 가속 수준, 매일 사용되는 공구 사용시간, 작업자 가 공구를 사용한 누적 년 수, 공구사용의 인간공학 적 측면 등에 따른 유병률의 연구(Griffin, 1992)가 진행되었고 연구방법 또한 실험 및 코호트 연구를 포 함한 다양한 역학조사가 진행되었다(Brubaker et al, 1987; Nilsson et al, 1989; Koskimies et al, 1992). 수지진동 증후군을 주로 일으키는 공구 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망치(powered hammer), 끌 (chisels), 전기 톱(chain saws), 사포(sanders), 연삭기(grinders), 리벳 기계(riveters), 파쇄기 (breakers), 드릴(drills), 분쇄기(compactors), 연 마기(sharpeners), shapers 등이 수지진동 증후군 을 유발한다고 밝혀졌고(NIOSH, 1989), 이에 따른 측정방법, 공구에 대한 평가, 보건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ISO, 1986; NIOSH, 1989; ACGIH, 1998). 우리나라에서의 진동에 관한 연구는 노재훈 등 (1981, 1988)이 착암기 사용 근로자에게서 수지진동 증후군의 유병률이 12.6%, 22.8%이었다고 보고하였 고, 주영수 등(1998)이 국소진동장해 진단방법에 대 한 평가를 보고하였다. 또한 객관적 진단방법을 사용 하여 진단한 경우는 김경아 등(1991)이 착암기 사용 에 의한 레이노씨병(Raynaud’s disease, Raynaud syndrome) 1예를 보고한 정도이어서 앞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진동에 의한 수지진동 증후군의 진단은 먼저 레이 노씨병을 진단하고 다른 원인으로 오는 이차적 레이 노씨병과 원발성인 일차적 레이노씨병을 제외시키고 (Zenz, 1994) 진동공구 및 작업 경력 등을 평가하 여 직업병을 진단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에서의 진단방법으로 조선소 의 그라인더 작업자 6명을 진동에 의한 수지진동 증 후군으로 진단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하며, 산업 의학과 전공의의 수지진동 증후군에 대한 유용한 진 단방법 숙지와, 앞으로 있을 국소 진동에 대한 국내 에서의 활발한 연구에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