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근무 중 과도한 주간 졸림증은 생산성 저하와 사고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역학적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대근무자와 비교하여 교대근무자의 수면상태와 주간 졸림 증상 보유정도를 비교 평가하고 주간 졸림증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일 공기업의 교대근무자 122명, 비교대근무자 254명을 대상으로 연령, 총 근무기간, 교육수준, 결혼상태, 종교 등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근로자의 수면양상은 NIOSH에서 개발한 한글 번역판 도구, 주간 졸림증은 Epworth 졸림증 척도 도구 그리고, 피로도는 다차원 피로척도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수면양상을 보면 교대군이 비교대군에 비해 수면장애에 대한 호소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또한 피로도 점수도 유의하게 높았다(p<0.01). Epworth 졸림증 척도로 측정한 점수가 10점 이상인 경우를 주간 졸림증으로 구분할 때, 그 유병률은 비교대군이 10.6%, 교대군은 19.7%로 교대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5). 주간 졸림증과 관련된 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교대근무 여부와 근무기간 그리고 수면 중 잠을 깨었을 때 다시 잠들기 힘들다 등이 유의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p<0.05). 연령층을 나누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40대 미만에서는 교대근무 여부가 유의한 변인(p<0.05)이었지만, 40대 이상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교대군의 주간 졸림증 유병률은 비교대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따라서 교대근무 시 업무능률 향상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교대근무자에 대한 수면관리, 피로도 관리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aytime sleepiness-related factors, including sleeping patterns and daytime activities, in shift and non-shift workers. Methods: One hundred and twenty two shift workers, and two hundred and fifty four non-shift workers,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in terms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tenur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d religion. Screening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for evaluation of daytime sleepiness, the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MFS) for fatigu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for sleeping patterns. Results: The shift worker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sleep disturbance and higher fatigue scores compared with the non-shift workers (all p<0.01). The prevalence of daytime sleepiness was higher in the shift workers (19.7%) than the non-shift workers (10.6%) (p<0.05). The significant daytime sleepiness-related factors were found to be shift work, tenure and difficulties in falling back to sleep once woken (p<0.05). Shift work was prov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workers aged less than 40 years (p<0.05). However, this association was not evident in workers aged 40 years and over. Conclusions: The shift worker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daytime sleepiness compared with the non-shift workers. The present study suggests a need for the implementation of sleeping and fatigue management programs for shift workers in order to improve working efficiency and control safety accidents during shift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