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Glutathione이 유기수온에 의해 유도된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utathione on Apoptosis Induced by Methyl Mercury Chloride

수은을 포함한 중금속에 대한 만성적인 폭로는 인 체 면역 체계의 기능 장애를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 다. 각종 해산물, 곡류 등에 의한 수은 오염은 높은 대중적 경각심을 일으키고 있으며, 최근 치과용 아 말감에 의한 인체 내 수은 축적(Guo 등, 1998; Shenker 등, 2000)이 보고되어 수은 독성, 특히 수은의 면역 독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수은 화합물의 면역체계 활성 기전들은 아직 잘 밝혀지지 않고 있다. 수은의 폭로는 면역활성에 의 한 알러지(allergy)나 자가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임파구의 면역 결핍 을 유도하여 만성적 또는 재발성 감염을 일으키기도 하는(Jiang 등, 1996; Wild 등, 1997) 등 면역체 계 활성과 임상적 후유증은 서로 모순되어 나타나기 도 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수은의 독성 효과가 수은 화합물의 화학적 종류, 용량, 섭취 경로와 폭로 세포 의 종류 등 조직 특이적 반응의 형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수은은 사람과 동물의 대식세포(macrophage)나 임파구의 증식능 억제, 사이토카인 (cytokine) 생산 저하 및 세포의 DNA 합성을 저 해하지만 이러한 저해 작용의 기전들은 서로 다르다 고 한다. 최근 중금속의 세포에 대한 독성기전에 apoptosis 가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제시되면서 중금속이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과 유도기전 연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카드뮴이나 수은과 같은 중 금속에 노출된 임파구나 대식세포들이 apoptosis와 관련된 세포사(cell death)의 전형적인 기능적, 형 태학적 특징을 동반한다(Chio 등, 1996; Oyama 등, 2000; Gasso 등, 2001)는 사실이 보고되었으 며, 수은에 노출된 임파구들이 세포사 이전에 adenine nucleotide energy charge ratio가 급격히 감소하고 지질과산화반응과 Ca2+ level의 변화 및 계 획된 세포사(programmed cell death)로 특징 지 워지는 세포막과 핵의 변화가 관찰됨으로써 수은은 임파구와 대식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한다고 하였 다(Abedi-Balugerdi 등, 1999; Oyama 등, 2000; Shenker, 등 1999). Glutathione(L-γ-glutamyl-L-cysteinylglycine, GSH)은 glutamic acid, cystein, glycine으로 구성된 tripeptide로 생체에서 가장 풍 부한 sulfhydryl group의 공급원으로서 동식물과 미생물의 모든 세포 내에 존재하여 세포의 많은 신 진대사와 물질이동의 조효소로 작용하고, 활성산소 기(reactive oxygen radical)에 의한 세포 손상이 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해 중금속 등의 독성에 대 하여 방어 작용을 하는 세포 내 방어물질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Chio 등, 1996). GSH는 세포막을 통 과하지 못하므로 GSH 전구체(precusor)로부터 세 포 내에서 합성되어 세포 밖으로 배출된 후 분해되 고 다시 세포 내로 유입되어 합성되는 고유의 순환 적 대사경로, 즉 γ-glutamyl cycle을 경유하여 물 질 수송에 관여하는데, cystein의 sulfhydryl group에 여러 화합물이 결합한 후 이 대사경로를 통해서 물질 수송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GSH는 Ca2+과 thiol의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 문에 GSH의 산화 또는 환원형이 세포 손상과 죽음 에 중요하게 작용한다(Close 등, 1999). 최근의 연 구에 의하면 GSH는 아세토아미노펜(acetaminophen)이나 수은과 같은 중금속에 대한 세포 독성에 대해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그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남 아 있다(Chio 등, 1996; Ning 등, 2000). 본 연구는 수은의 세포 독성에 대하여 방어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진 GSH와 세포내 GSH 고갈 물질 인 buthionine sulfoximine(BSO)을 처리하여 이 들이 수은에 의해서 유도되어지는 apoptosis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 수은에 의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의 증거로써 활성산소 발생정도를 측정하 고 세포 내 GSH 농도 변화가 활성산소 형성에 미치 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수은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apoptosis에 대한 GSH의 방어 기전과 역할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