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이 연구는 화학물질에 대한 환경 노출과 그에 따른 과민도를 검사할 수 있는 QEESIⓒ (quick environment exposure sensitivity inventory, QEESI)에 대해 한국어판을 개발하고, 한국어판 QEESIⓒ의 효율적인 적용 여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어판 QEESIⓒ의 개발과 타당도 및 신뢰도 평가를 위하여 개념적 검증과 통계적 검증을 하였다. 개념적 검증은 전문가가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는 번역 단계로 승인, 순번역, 1차 질 관리, 역번역, 인지 및 2차 질 관리, 최종 교정의 6단계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연구 참여에 동의한 경기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녀 300명이었다. 표본 조사를 통한 통계적 검증은 한 달 간격으로 검사 및 재검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내적 구조에 기초한 구성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어판 QEESIⓒ의 40개 항목에 대해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5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요인 1은 화학물질 과민도 10개 항목, 요인 2는 생활에 미치는 영향 10개 항목, 요인 3은 증상 중증도 10개 항목, 요인 4와 요인 5는 기타 물질 과민도 각각 7개 항목과 3개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수렴 타당도를 추정하기 위한 한국어판 QEESIⓒ의 화학물질 과민도와 화학물질 민감 척도의 상관계수는 0.35, 증상 중증도와 정신·신경학적 자각 증상 점수의 상관계수는 0.53이었다. 재검사 신뢰도 추정을 위한 검사·재검사 결과의 상관계수는 0.87~0.90, 내적일관성 신뢰도의 Cronbach” α는 0.86-0.96이었다. 결론: 요인 분석을 통한 구성 타당도 검증 결과 각 요인은 개념의 조작적 정의와 일치하였으며, 40개 항목 모두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았으므로 검사의 내적 구조에 기초한 근거인 구성 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재검사 신뢰도와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0.8 이상인 관계로 도구의 신뢰도 역시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판 QEESIⓒ의 좋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MCS/IEI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 idiopathic environmental intolerance) 및 독성물질로 인한 내성의 저하(toxicant induced loss of tolerance, TILT)연구의 참고 자료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is not available for use as a screening tool to assess individuals with MCS/IEI in Korea. The QEESIⓒ, originally developed by Miller & Prihoda in 1998, helps researchers, doctors, and their patients identify individuals with MCS/IEI.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reate a Korean version of the QEESIⓒ and evaluate whether this Korean version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MCS/IEI screening tool in Korea. Methods: The Korean version of the QEESIⓒ was developed using a six-step approach: permission, forward translation, the first quality control, backward translation, cognitive debriefing and the second quality control, final proof reading. In order to collect data, we have done a sample survey in certain parts of Korea. A household was used as the sampling unit; we extracted random samples in each survey cluster and then interviewed two adults over 19 years of age living in each sampled household. A total of 300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 general population in local community. The factor structure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QEESI was analyzed with 40 items on four sub-scales except for the 10 items in masking index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A convergent validity test two sub-scales: chemical intolerance and symptom severity. We carefully compared the chemical intolerance with Nordin’s chemical sensitivity scale and the symptom severity with Cho’s subjective symptom scor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40 items on the four sub-scales,‘ chemical intolerances’,‘ symptom severity’, ‘life impact’, and ‘other intolerances’, were consistent with those reported for the US population by Miller and Prihoda. The convergent validity wes very good (r=0.4; p<0.001, r=0.5; p<0.001, respectively). A good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α=0.86~0.96) and test-retest reliability (r=0.87~0.90) were found in all scales, except for the internal consistency in the masking index. Conclusions: The Korean version QEESIⓒ showed a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It should be necessary to conduct a MCS/IEI study adopting Korean version QEE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