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조선업 용접공의 용접흄 생애누적노출량을 이용한 환기기능 평가

An Evaluation of the Ventilatory Function in Shipyard Welders Using the Lifetime Cumulative Exposure to Welding Fumes

용접작업중 발생하는 유해인자는 여러 가지 금속 성분을 포함한 용접흄, 오존, 질소산화물 등의 가스 및 증기가 있으며, 물리적 인자로는 소음, 진동, 열, 전류, 이온화 방사선 및 비이온화 방사선등이 있다 (AIHA 1984, Burgess 1995). 또한, 용접은 압력 이나 열을 사용하여 접합면에 금속조각을 결합하는 과정으로서 조선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80만 명이 전일제로 근무 하고 있으며 시간제(part time) 근무자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Sferlazza & Beckett, 1991).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업에 근무하는 근로자수는 협 력업체를 포함하여 약 2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 며 이중 조선업에서 용접과 관련된 용접공이나 용접 시에 연마 등에 관련된 근로자는 보통 60%를 차지 하고 있으므로 용접공은 약 12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나 이보다 오히려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한국산 업안전공단, 1997). 산업의 발달로 많은 수의 용접 공이 조선업종을 비롯하여 자동차, 건설, 기계제조업 등 여러분야의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노동부(2001) 의 통계에 의하면 선박건조 및 수리업의 사업체수와 근로자수는 606개소, 76,630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산업인구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용접공 근로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용접작업은 조선 업에서 필수적인 공정으로 다양한 유해물질에 노출될 수 있고 근무특성상 타 제조업에 비해 작업공간이 선 체 안과 블록 안, 탱크 안 등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 에 고농도로 용접흄에 노출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 직업병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폐기능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인자는 석탄이 나 유리규산, 석면, 용접흄 등 다양하다. 폐기능 검 사는 직업성 폐질환의 진단과 예후의 판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검사이며 직업병의 조기발견과 적절한 보상을 지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때로는 임상적 진단과 치료에도 적용되고 집단에 대한 유해인자에 대한 영향 파악과 역학조사에 이용되고 있다. 석면 폐증이나 면폐증 등 섬유증식증이 심하지 않으나 늦 게 발생하는 질환에서는 방사선학적 변화가 오기전 에 이미 폐기능 장해가 오기 때문에 폐기능 검사가 중요한 방법이다. 용접공 근로자수의 증가와 더불어 용접흄에 의한 폐기능 장애에 관하여 연구자들에 따라 상반된 견해 를 발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용접흄은 만성 호흡기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고(Sferlazza & Beckett, 1991), 용접공의 폐기능 감소에 대한 연구 (Hunnicutt et al., 1964; Fogh et al., 1969; Francis, 1982; Keimig et al., 1983; Akbarkhanzadeh, 1993; Ozdemir et al., 1995; Riitta et al., 1999)가 있었다. 반면에 폐기능 감소와 유의 한 관련성이 없다는 연구(McMillan & Heath, 1979; Hayden et al., 1984; Akesson & Skerfving, 1985; Kilburn & Warshaw, 1989; Sobaszek et al., 1998)도 있었다. 또한 용접흄 누 적노출량과 폐기능 장애에 관한 노출-반응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Groth et al., 1989; Rastogi et al., 1991; Bradshaw et al., 1998). 하지만, 이들 연구는 단순히 현재의 노출수준에 근무기간을 곱한 누적노출지표를 사용하여 노출평가 를 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용접흄과 폐기능 에 관하여 홍영습 등(1995)과 문태인 등(1996)의 연구이외에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들 연 구들도 누적노출량의 정량적 평가가 아닌 근무기간 으로 노출평가를 하였다. 현재까지 국내외의 연구 제한점으로는 누적노출량 산출할 때 유사노출군의 개념이 들어간 대표 노출값을 이용하지 않았고 환기 설비, 생산량, 보호구 사용유무, 용접봉 및 와이어등 의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과거 노출수준 및 양에 대한 추계가 정량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사노출군 개념에 의한 대표 노출값을 구한 후 노 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함께 고려한 정 량적 생애 누적노출량을 산출하여 용접공들의 환기 기능 장애 정도를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 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