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급증하고 있는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위험요인은 다양하다. 근골격계 질환을 일으키는 여러가지 위험인자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면서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노동강도와 노동강도의 변화가 근골격계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조사기간은 2003년 4월 1일부터 2003년 5월 31일까지 하였고 경남 창원에 소재하는 모 자동차 엔진 조립 노동자 5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내용은 사회인구학적 문항, 직무관련문항, 근골격계 증상 유무, 인간공학적 위험인자, 직무스트레스, 현재의 육체적 노동강도와 노동강도 변화에 관한 문항에 관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결과: 근골격계 증상의 위험요인에 관한 다변량분석결과 QEC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요구도가 높을수록, 육체적 노동강도가 크고 노동강도가 강화될수록 근골격계 증상 위험도는 증가하였다. 결론: 기존에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졌던 연령, 근무기간, 인간공학적 위험요인, 직무 스트레스, 육체적 노동강도 등은 본 연구에서도 근골격계 증상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또한 노동강도의 변화도 근골격계 증상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대책을 세울 때 노동강도의 감소에 대한 대책도 아울러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o determine the synthetic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o examine effect on musculoskeletal symptoms of physical work intensity and change of work intensity. Methods: Self-administered questionnar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88 motor engine assembly workers, in Chanwon, Kyungnam provance, Korea, from April 1 to May 31, 2003.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 items, work-related characteristic items, pres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ergonomic risk factors items, job stress items, current physical work intensity and changes of work intensity items. The results underwent statistical analysis with frequency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0.05, and SAS(v8.1) was used. Result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From the results, significant variables were high Quick Exposure Check (QEC) score, high job demand control, physical work intensity, change of work intensity. Conclusion: Among the known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outbreak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confirmed to be correlated with age, tenure, ergonomic risk factors, and job stress. Physical work intensity and the changes of work intensity were also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