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이염화망간을 투여한 흰쥐의 조직중 망간과 Malondialdehyde간의 관계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Manganese Chloride and Malondialdehyde in Rat Tissues

망간은 철과 주석에 이어 가장 흔한 전이금속의 하 나이다(Francois 등, 1988). 망간은 생체의 필수금 속으로서 과당의 합성, 골형성, 콘드로이틴황산 (chondroitin sulfate) 형성, 카테콜아민 대사와 멜 라닌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에 관여하고, 생체효소반 응 중 pyruvate kinase, mitochondrial superoxide dismutase, glycosyl transferase 및 지방 산 합성에 관련된 효소반응의 보조인자로서 작용한다 (Klaassen 등, 1996). 망간과 그 화합물들은 합금 과 건전지, 전기코일, 용접봉, 페인트, 농약 등의 제 조에 사용되며(Klaassen 등, 1996), 직업적으로 장 기간 노출되었을 경우 흔히 신경장애를 유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Huang 등, 1989). 산업위생의 인식과 작업환경의 개선에 따라 망간중독 사례는 드 물지만 국내에서도 용접공에서 발생한 망간중독이 보 고되면서 그 유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정 호근, 1997). 분진 또는 흄의 형태로 고농도의 망간 화합물에 노출되면 화학적 폐간질염과 같은 호흡기 장애를 일으키고, 만성 노출시 전형적인 중독증상으 로 추체외로(extrapyramidal)계의 장해가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obert 등, 1995). 현재까지 망간 중독증의 분자생물학적인 병리기전 에 대해 명확히 알려져 있지 못한 실정이지만, 최근, 망간을 포함한 수은, 연, 카드뮴 등과 같은 중금속 중독의 발생과정에 산소유리기(free oxygen radical)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가설에 관심이 증 대되고 있다(Wendel 등, 1979; Knight와 Voorhees, 1990; Lin 등, 1994; Yiin 등, 1994, Yiin 등, 1996). 이 가설에 의하면 망간노출이 세포에서 산소유리기 농도를 증가시키고 정상적으로 생체내에 존재하는 항산화계(antioxydant system)의 제거 능력을 초과하였을 때 세포막 등의 불포화지방산에 서 과다한 지질과산화반응이 초래되어 세포의 구조 적 손상, 기능장애 및 괴사로 진행된다고 요약된다 (Maestro, 1980; Murray 등, 1988). 이 기전은 동맥경화증(Ledwozyw 등, 1986), 노화(Pryor 등, 1985; Yen 등, 1994), 류마티스병(Humad 등, 1985), 암(Halliwell 등, 1984)뿐 만 아니라, 유기용제(Sunderman 등, 1986), 약물(Burk와 Lane, 1979; Knight 등, 1988), 농약(Yasaka 등, 1981), 알콜(Uysal 등, 1986) 등 다양한 중독 증의 발생기전에 관여한다. 실험동물을 대상으로한 과산화물의 급성독성평가에서 망간을 포함한 2가의 금속이온이 지질과산화반응에 관련된다는 연구결과 가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Wendel 등, 1979; Shukla와 Chandra, 1981; Sunderman 등, 1989; Knight와 Voorhees, 1990; Lin 등, 1994; Lin 등, 1996), 금속이온이 지질과산화반응에 미치 는 정확한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산화에 의한 세포손상을 평가하기 위해서 가장 널 리 사용되는 방법은 지질과산화반응의 최종대사산물 인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이하 MDA)를 정량하는 것이다(Placen 등, 1966; Jiankang 등, 1997). MDA는 일차 또는 이차 지 질과산화반응산물의 분해를 통하여 형성되는 저분자 량의 알데하이드로서 thiobarbituric acid(이하 TBA)와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발색단을 만든다 (Jiankan 등, 1997). 본 실험에서는 망간에 의한 지질과산화반응의 평가를 위하여 MDA-TBA adduct를 정량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망간을 1개월간 복강내 주사로 노출시켰을 때 망간의 주된 목표 장기를 확인하고 망 간노출이 생체에서 지질과산화반응을 촉진시켜 MDA 의 양을 증가시킨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