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연취급 근로자들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와 연노출 지표들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Distress and Lead Exposure Indices in Lead Workers

산업보건의 최종적인 목표는 근로자에게 쾌적한 작 업환경을 제공하여 유쾌한 상태로 작업에 임하게 하 고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 증진시킴으로써 근로 자의 행복을 추구하고 나아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예방의학과 공중보건 편집위원회, 1999). 근로 자의 건강문제는 육체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 강도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 최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직무에 대한 부담과중, 업 무의 반복성과 단조로움 등으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 나 직장 내에서 동료와의 관계, 자신의 역할 문제, 보수문제, 직무에 대한 만족도 등과 같은 직무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직업성 스트레스 등이 주요 연구 대상이다(차봉석, 1988). 스트레스는 많은 임상질환, 즉 고혈압, 두경부 통증, 경견완 장해, 월경불순, 요 통, 천식, 심혈관계 질환, 면역 질환, 소화기계 질환, 불안 및 우울, 상해, 폭력, 자살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차철환, 1993). 직업성 스트레스의 원인은 크게 유해 환경, 직무의 성격, 그리고 조직과 조직외적인 인자로 나눌 수 있 다. 즉 소음이나 이상기온과 같은 물리적 유해 인자, 화학적 유해 인자, 부적합한 인체 공학적 환경 (Kryter, 1972 ; Simpson 등, 1974 ; Navarro, 1982), 업무량의 과다, 결정권의 부재, 시간외 근무, 사무 기기와 관련된 요인, 주야간 교대근무 등이 스 트레스의 요인이 될 수 있다(Kasl, 1973 ; Kahn, 1974 ; Caplan 등, 1975 ; Cox, 1980 ; Karasek, 1981). 또한 결정과정에서의 소외감(Karasek 등, 1981 ; French 등, 1982 ; Gardell, 1982)과 해고 의 가능성(Kasl, 1973), 업무의 불명확성, 기대와의 차이, 책임감, 역할에 대한 갈등, 부하의 장래에 대 한 책임감(Kahn, 1974) 등과 같은 업무역할과 관련 된 스트레스 요인이 있을 수 있다. 무기연에 의한 건강장해로는 급성영향으로 복부산 통, 뇌증, 용혈, 급성신부전 등이 있으며 만성영향 으로 피로 및 쇠약, 관절통 및 근육통, 빈혈, 만성 신부전, 운동성 말초 신경병증, 신경행동학적 장애 및 만성뇌증, 통풍 및 통풍성 신증 등이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Ladou, 1997). 현재까지의 연에 대한 연구가 연노출 지표와 신체적 건강장해와의 관 련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연노출과 사회 심리 적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 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농도 연노출의 가능성이 있는 1차 연제련업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을 알아보고 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 며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와 연노출 지표들간의 관련 성을 파악하여 향후 연취급 근로자들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