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근로자의 중추신경계 장애와 신경행동검 사에 관한 연구는 면접식 신경행동검사인 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NCTB)를 이용한 연구(강성규 등, 1993; 이덕희 등, 1995; 이세훈 등, 1996; 박강원 등, 1997; 김규상 등, 1999; 진영우 등, 1999)와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인 Swedish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PES)을 이용 한 연구(사공준과 정종학, 1994; 정종학 등 1994; 김 창윤 등, 1997; 사공준 등, 1997; 전만중 등, 1997; 정종학 등, 1998)로 나뉘어 진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은 모두 외국에 서 개발된 면접 및 컴퓨터 신경행동검사를 이용하였 다. 이들 검사도구들이 개발되는 과정에서 충분한 타 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고 가정하더라도 교육수 준, 문화적 배경 및 생활양식이 외국인과 다른 한국인 에서도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만족할 만한 수준으 로 유지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있다. 또한 대부 분의 검사가 수용할만한 수준의 신뢰도를 가지는 경우 라도 신뢰도의 비교를 통하여 다른 검사보다 상대적으 로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검사항목을 선별한다면 신경 행동검사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의문과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나 라 근로자들의 특성과 산업보건제도에 적합하면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신경행동검사 배터리를 독 창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일 수 있으나 새로운 신경행동검사 배터리의 개발에 소요 되는 시간과 이미 외국에 축적된 자료와의 비교성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 이용되어온 기존의 검사항목들 중 우리 나라 근로자의 특성과 산업보건제도에 가장 적합한 검사항목들을 선별하여 신경행동검사 배터리 를 구성하고 여러 연구에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그동안 우리 나라 근로자들에게 사 용되어온 신경행동검사항목들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 도에 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신경행동검사항목들 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는 정종학 등(1998)에 의해 수행되어 컴퓨터 신경행동검사 중 부호숫자 짝짓기, 손가락 두드리기 및 면접식의 숫자부호 짝짓기와 핀 꽂기의 타당성이 다른 검사항목에 비하여 상대적으 로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국내에서 이용 되고 있는 신경행동검사들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수행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검사-재검사법을 이용하여 면접 및 컴 퓨터 신경행동검사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 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