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문명사회에서 한랭환경에 노출되어 인체가 직접적인 손상을 입는 경우는 많지 않으나, 겨울철 등반, 스키 등의 옥외 스포츠 활동의 증가와 더불어 한랭손상이 증가 일로에 있다(정덕환, 1998). 한랭 환경에 노출될 수 있는 직업은 냉장∙냉동 산업과 관련된 음∙식료품제조업, 겨울철 전방에 근무하는 군인 및 어업종사자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전통적 인 농업, 축산업, 어업과 관련된 냉장∙냉동 산업 이 외 경제성장과 더불어 늘어난 냉동 음식 산업에 종 사하는 근로자들은 한랭환경에 노출될 기회가 높다. 우리나라에서 2000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음∙식 료품제조업 산업 및 냉장∙냉동 산업과 관련하여 만 여 개의 사업장에 10만 이상의 근로자들이 종사하고 있는데, 이들은 업무상 재해나 질병의 일종으로 한 랭손상을 입을 수 있다(한국산업안전공단, 1999; 통 계청, 2000). 한랭손상은 전신적 또는 국소적으로 발생할 수 있 다. 전신적 한랭손상은 저체온증이 있고, 국소적 한 랭손상에는 습도가 높은 한랭조건에서 발생하는 동 창(perniosis, chilblains), 액침족(immersion feet), 참호족(trench feet) 등의 비동결성 한랭손 상(non-freezing cold injury)과 건조한 한랭조건 에서 발생하는 동상(frostbite) 등의 동결성 한랭손 상(freezing cold injury)이 있다(예방의학과 공중 보건 편집위원회, 2001; Kilbourne, 1998). 동결성 한랭손상은 보온장구의 발달, 위생환경의 개선, 군대에서 예방 및 교육 등으로 최근에는 경험 하기 어렵다. 비동결성 한랭손상은 오랜 기간 동안 한랭에 노출되어 사지 말단조직의 손상이 초래되는 독특한 증후군이다(Francis, 1984). 동결성 한랭손 상과 마찬가지로 말초조직이 한랭 또는 습한 조건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지만 동결성 한랭손상과는 달 리 조직액은 동결되지 않는다(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1999). 한랭손상은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데, 한랭감작(cold sensitization), 다한증, 통증 등 이 있다. 한랭감작증은 레이노 현상과 유사해서 과 거 레이노 현상의 일부로 생각되었던 신경, 혈관 증 상 중에 명확한 원인을 설명할 수 없는 경우에 한랭 노출의 경험이 있으면 한랭감작증일 가능성이 높다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1999). 비동결성 한랭손상에 의한 한랭감작증은 외국의 경우 여러 보고가 있었으며(Ungley, 1945; Francis, 1984; Toback et al., 1985; Das et al., 1991; Parsons et al., 1993; Jia & Pollock, 1997), 국내에도 많은 사례가 있다고 생각되나 보고가 전무 하다. 저자들은 냉동창고에서 근무한 근로자에서 발 생한 한랭감작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 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