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한랭노출과 고혈압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old-Exposure and Hypertension

1999년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전체 사망의 30.3 %였으며, 이 중 남자의 경우 전체 사망의 27.6 %, 여자는 전체 사망의 33.2 %를 차지하였다 (WHO, 2000). 이러한 심혈관질환에는 고혈압, 허 혈성 심질환, 뇌혈관질환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고 혈압은 대부분의 만성 비전염성질환과 같이 초기증 상이 없고 조기에 치료를 하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 하면 뇌혈관계, 심장, 신장 등에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Kannel et al., 1981). 일반적으로 고혈압을 비롯한 심혈관질환은 여름보 다 겨울에 발생률과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Kristal-Boneh 등(1997)은 혈압은 여름보다 겨울에 높고, 이것이 겨울에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 망의 원인이 된다고 하였으며, 겨울에 나타나는 혈 압과 심박동수의 증가는 비흡연가보다 흡연가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Donaldson 등(1997) 은 추위에 대한 노출에 의해 혈색소와 적혈구수, 혈 중 알부민,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이 증가하고 적혈 구 침강속도가 감소한다고 하였다. Shechtman 등 (1990)은 혈압 증가를 일으킬 수 있는 기온이 5~9 ℃라고 하였다. 고혈압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 것들에는 유전 적 소인, 연령, 체중과다, 식염섭취, 혈중 지질의 증 가, 흡연, 음주, 커피, 스트레스 등이 있다(예방의학 과 공중보건, 1998). 감신 등(1991)이 실시한 고혈 압의 위험요인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결과에 의 하면 음주, 식염, 비만도가 고혈압의 위험요인이며, 우유는 고혈압 발생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우리나라 냉동공장에서 냉동작업을 하는 근로자들 은 매일 영하 20~50 ℃ 정도의 기온에 노출되고 있 으며, 이런 근로자들의 경우 생리기능의 계절적 순 응과는 무관하게 영하 20~50 ℃의 냉동창고에서 작 업을 하므로 한랭작업환경으로 인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이광묵, 1998). 그러나 우리나라의 특수건 강진단은 유기용제 54종, 특정화학물질 44종, 금속 및 중금속 11종, 분진 3종, 물리적 인자 8종 등 근 로자에게 노출되는 법정 유해인자에 대하여 실시되 고 있으며, 한랭은 법정 유해인자에 속해 있지 않다 (산업안전보건법, 1999). 즉, 냉동작업자들은 한랭 작업환경으로 인한 질병에 대한 감수성이 높지만 이 에 대한 관리는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한랭으로 인한 건강장해는 추운 환경에 신체가 과 도하게 냉각되어 발생하는데 말초부위의 피부온도 및 심부체온 저하, 신체 및 정신기능의 저하, 고혈압 및 협심증, 요통 악화, 말초혈액 순환장애 등이 발생 할 수 있다(이광묵, 1998, 조규상, 1991). 그러나 냉동작업을 하는 근로자들의 건강장해에 대한 보고 는 많지 않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박호추 등 (1999)이 실시한 한랭작업 근로자들의 건강위해에 관한 연구가 유일하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냉동공장에서 냉동작업을 하 는 근로자와 냉동작업을 하지 않는 근로자들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와 혈압을 포함한 임상검사를 하여 냉 동작업을 하는 근로자들이 혈압 상승의 위험이 있음 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위험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냉동작업에 대한 관리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