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소음성 감각신경성 난청에서의 Mitochondrial DNA A3243G 돌연변이

Mitochondrial DNA A3243G mutation in noise-induced sensorineural hearing loss

산업장 소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잘 알려져 있 으며, 그 중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소음성난청 (noise-induced hearing loss)이다. 우리나라의 특수 건강진단을 통한 전체 직업병 유소견자 중 소음성난청 유소견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1994년 56.9%(1,746명) 를 차지하여 전체 직업성 질환 유소견자의 50%이상 을 차지하고 있다(노동부, 1995). 앞으로 산업의 기계 화가 가속화 됨으로써 소음성 난청에 대한 문제는 심 각해질 전망이며 소음에 폭로되는 근로자들의 청력보 존을 위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소음성난청은 내이 와우각의 감각상피(sensory epithelium)를 구성하고 있는 청세포들의 stereocilia가 임파액의 파동에 의해 형성된 전단력 (shearing forces)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괴됨으로 써 발생하며,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의 소음에 노출 시 주로 고주파(high frequency)영역의 청세포가 손상되어 난청을 유발한다. 소음성 난청은 일반적으 로 청력검사상 양측성이며, 감각신경성난청(sensorineural hearing loss: SNHL)의 소견을 나타 내고, 초기에는 고주파영역(4 KHz)에서 특징적인 순음청력역치의 감소를 나타내지만, 계속적인 소음 노출시 회화영역까지 청력역치가 떨어지게 되고, 심 한 경우는 완전히 청력을 잃어버리게 된다. 또한 나 이가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노인성난청은 소음성 난청의 정도를 더욱 심화 시키며, 소음성 난청이 있 는 경우는 aminoglycoside와 같은 항생제 및 이독 성 부작용을 가진 물질에 감수성이 커지게 된다 (Schindler 등, 1997) 소음에 의한 청력손실의 감수성을 예측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있으나 대부분이 일시적 청력역치손 실(temporary threshold shift: TTS)을 측정하여 영구적 청력역치손실(permanent threshold shift: PTS)에 대한 감수성의 정도를 파악하는 방 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TTS와 PTS 간의 연관성이 낮아 실질적인 개인의 감수성을 파악 하기는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Burns, 1973: Buck와 Franke, 1986). 소음에 의한 영구적 청력손실의 위험은 유전적인 감수성(genetic susceptibility)과도 관련이 있으며 (Schindler 등, 1997), 많은 역학적 연구들은 이러 한 현상을‘tough and tender’현상으로 밝히고 있 다. 동물 실험에서 소음에 대한 감수성은 개체간에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차이는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며(Cody와 Robertson, 1983), Taylor 등(1965)은 99-102 ㏈의 일정한 소 음에 1년에서 54년동안 폭로되어 온 여성직공들의 청력손실의 정도가 최고와 최저청력손실을 가진 사 람에서 70 ㏈이나 차이가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소음성난청에 있어서 유전학적 특성과 연령의 상 호작용은 이론적으로나 실제적으로 중요하므로 이들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의 노인성난청과 비슷한 고주파영역에서 일차적으로 청력역치손실이 발생하는 마우스 근친교배종(inbred strains), CBA/Ca와 C57 BL/6J 유전자형을 이용한 동물실 험에서 두종의 유전자형에 따라 연령에 증가함에 따 라 청각 변성에 차이가 나며, 소음에 의한 청각손상 에 대한 감수성이 다르게 나타났다(Li, 1992a,b: Li와 Borg, 1991, 1993: Li 등, 1993). 또한 염색 체 10에 위치해 있는 Ahl 유전자형이 소음성 난청 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rway 등, 1996). 이러한 결과는 소음성 난청에 대한 감수성에 있어 유전적인 소인이 중요한 요인임 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Mitochondrial deoxyribonucleic acid (mtDNA)에 대한 연구는 반응성 산소의 대사에 의 한 손상, 허혈, 신경성질환, 노화 그리고 특히 최근 에 청력장애에 있어 새로운 연구분야로 알려지게 되 었다(Schapira 등, 1989: Cortopassi and Arnheim, 1990: Miyabayashi 등, 1991: Corral-Debrinski 등, 1991: Ballinger 등, 1992: Shoffner and Wallace, 1992). MtDNA 는 nuclear DNA보다 10~20배 높은 돌연변이율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mtDNA의 돌연변이는 사람 질 병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고(Linnane 등, 1985), 특히 내이 와우각의 병변과 관련돤 청력장애 의 연구에 중요한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방법이 될 수 있다(Seidman 등, 1996). MtDNA 손상은 안정된 조직에서 축적이 잘 되며 (Wallace, 1992), cochlear의 세포는 태생기에 이 미 유사분열(mitosis)을 끝마쳤기 때문에 mtDNA 돌연변이가 cochlear에 축적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320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12 권 제 3 호 2000년 SNHL환자에서 cochlear 조직 뿐만아니라, 백혈구 의 mtDNA 돌연변이의 축적 또한 청력소실과 관련 이 있을 것이다(Tamagawa 등, 1996: Ueda 등, 1998). MtDNA의 유전학적인 설명에 의하면, 청각 경로에도 mtDNA 돌연변이가 확실히 존재하며, 이 러한 이유로 mitochondria의 기능은 감소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사람의 측두골(temporal bone)에서 mtDNA를 분석한다는 것은 실제 불가 능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청각경로에 있어 mtDNA의 돌연변이 전체를 반영하지는 않지만 말 초혈액의 백혈구로 부터 mtDNA 돌연변이를 분석 함으로서 감각신경성 난청에 대한 mtDNA 돌연변 이의 관련성 유무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실험은 소음성난청 환자의 말초혈액 의 백혈구에서의 mtDNA를 분자생물학적인 기법으 로 분석하여 mtDNA A3243G 돌연변이 유무를 관 찰하였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