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제 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 (목) ~ 9일(토) 대구엑스코(EXCO)

대뇌 기저핵 신경세포 일차배양에서 망간에 의해 유도된 Apoptosis

Apoptosis Induced by Manganese in Basal Ganglia Primary Neuronal Cell Culture : Morphological Findings

자연환경이나 산업장에 많은 양의 망간이 산재하고 있으며 많은 근로자들이 직업적 폭로로 만성 망간중독 의 위험에 처해 있다. 또한 가솔린의 항노크제로 사용 되는 MMT(methylcyclopentandienyl manganese tricarbonyl)와 농약 등에 함유된 망간화합물에 의한 환경오염은 망간의 만성독성에 대한 관심을 증대 시키 고 있다. 만성 망간중독은 특발성 Parkinson씨 병의 추체외로계 징후나 증상과 비슷한 기능성장애를 일으 키고(Cotzias, 1958; Mena 등, 1967; Barbeau, 1984; Donaldson, 1987; Calne 등 1994), 망간의 이가이온(Mn2+)이 세포내 superoxide의 주요근원으 로 알려진 사립체 전자전달체계인 세포의 안쪽 막에 결합하여(Gunter 등, 1975) 산소자유기에 의해 3가 이온(Mn3+)으로 산화되어 세포독성에(Graham, 1984; Halliwell, 1984; Archibald와 Tyree, 1987; Donaldson, 1987)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신경세포에 대한 손상기전과 세포사(cell death)의 양 상에 대해 확실하게 정립된 것이 없다. 세포사에는 두가지가 알려져 있다. 즉 괴사 와 apoptosis이다. 세포는 내부의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 성을 통하여 세포예정사(programmed cell death) 가 시작되며, 이는 세포골격의 붕괴, 세포위축 등을 초래한다. 그리고 apoptosis는 핵내에 특징적인 변화 가 초래되는데 핵은 endogenous nuclease의 활성화 에 의해 DNA변성이 시작되어 응축이 일어난다. 대 부분의 세포에서는 DNA가 변성되어 oligonucleosome정도의 크기로 분절된 DNA분절이 생겨나기도 한다(Martin과 Green, 1995). Apoptosis는 정상적 인 생리학적 조건 또는 병리학적인 상태 모두에서 관 찰되는데 신경세포의 apoptosis는 많은 논란의 여지 가 있지만 Alzheimer 병, Parkinson씨 병,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ALS) 및 여러형태 의 소뇌변성질환 등에서는 특정한 신경세포의 소실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Heintz, 1993; Steller, 1995). 이러한 질환에 있어서 세포사는 특징적인 운 동장애 및 중추신경계 기능장애를 초래하며, 세포사 의 주된 기전은 괴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염증반응을 수반하지 않는 사멸로 oxidative stress, calcium toxicity, 생존 인자의 결핍 등이 병태생리에 관여하 는 apoptosis에 의해 일어날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시 되고 있다(Choi, 1992). 또한 사립체의 기능 소실 또한 apoptosis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소견이므로 사립체는 apoptosis를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 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Mn2+이 축적되는 주요 세포소기관이 사립체이기 때문에 망간중독으로 인한 신경세포의 사망은 괴사보다는 apoptosis의 가 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대뇌 기저핵의 신경세포를 배양하 여 망간에 의한 apoptosis 유도 여부를 전자현미경 학적 및 세포면역학적인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 Ut enim ad minim veniam, quis nostrud exercitation ullamco laboris nisi ut aliquip ex ea commodo consequat.

대한직업환경의학회에서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는 화요런천세미나 강의동영상 중 강사가 공개를 동의해주신 경우 <교육동영상>에 업로드하였습니다.

학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