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금연운동은 건강증진사업의 가장 중요 한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직장 건 강증진사업에서 금연운동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직장에서의 흡연은 작업관련 유해물질 과의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악성종양 및 각종 호흡기 계질병의 발생 위험이 배가되며 비흡연 근로자들에 대한 간접흡연의 주 폭로원이 되기 때문이다(Walsh DC와 Engdahl, 1989). 미국보건성의 공식 보고서 에 따르면 1992년 현재 미국 내 50인 이상 사업장 중 59%가 어떠한 형태로든 금연관련활동을 시행하 고 있으며 그 결과도 다른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금연관련활동과 비교할 때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평 가하고 있다(USDHHS, 1993). 그러나 우리 나라 근로자들은 여러 가지 건강증진사업 구성 요소 중 정기적 건강검진, 건강상담, 운동처방 등에 대한 요 구도는 높으나 금연운동에 대한 요구도는 매우 낮다 고 보고된 바 있다 (유중선 등, 1996). 산업장 금연 운동이 가지는 실질적인 중요성과는 반대로 근로자 들의 선호도가 낮다는 현장에서의 연구결과는 우리 나라 산업장에서 실제로 금연운동이 시행되더라도 성공하기가 어려울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외에서는 담배의 해악이 알려진 1960년대 후반 부터 금연의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사회인구학적 인자를 찾기 위한 연구들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 으며 연령, 교육, 음주량, 흡연량, 금연경험유무, 주위의 지지 등 다양한 인자들이 금연의 성공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oppotelli와 Orleans, 1985; Kabat와 Wynde, 1987; Norman, 1991; Lennox, 1992). 이러한 인자들 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금연운동이나 체계적인 금연 프로그램을 통하여 흡연인구를 줄이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금연과 관 련 있는 요인을 찾고자 하는 연구들이 시행된 바 있 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들은 주로 병원 방 문자 (원영일 등, 1992), 환자 (김미경 등, 1995), 의과대학생 (최지호 등, 1995) 등을 대상으로 함으 로써 일반 성인인구에게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 려웠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연구설계가 단면연구 형 태이었으며 연구에 따라 표본 수나 분석에 포함된 관련 변수도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1999년에 시행된 전체 산업장 차 원의 자율적 금연운동의 결과 전체 흡연율이 57.3% 에서 41.2%으로 약 16.1%가 감소한 일개 대규모 제철제조업체의 남자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금연의 성공과 관련성이 있는 인구학적, 사회경제학적, 건 강 행태 관련 인자 및 질병요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 때 질병요인은 근로자 정기검진으로 이환 유무에 대한 판단이 가능한 질병만이 대상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