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직업성질환 감시체계가 소개가 된 후 (강대희, 1996; 조수헌 등, 1997), 1998년부터 직 업성천식 감시체계(강성규 등, 2000), 인천지역감시 체계(임종한 등, 1999; 임종한 등, 2000)가 운용되 기 시작하여, 최근 들어 대전(장성실과 김수영, 2000), 천안2), 여천(문재동, 2000), 구미, 부산-울 산-경남(이하, 부울경)3) 등지에서 지역단위 직업성 질환 감시체계를 구축하려는 시도가 본격화되었으며 (조수헌 등, 2001), 미국과 영국 등에서의 직업성질 환 감시체계에 대한 경험(강성규 등, 2001)은 우리 나라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에 대한 새로운 자 극제가 되고 있다. 사업장 근로자들의 유해물질 노출, 직업성질환 및 손상 발생 등의 건강 모니터링과 자료 수집, 분석된 자료를 통한 예방조치를 시행하게 되는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는 지역 사업장의 특성, 관심 대상 질환의 종류, 이용 가능한 인력 및 감시 자료원 등에 따라 지역마다 그 구체적인 모델을 달리 할 수 있다 (Teutsch와 Churchill, 1994; Thacker와 Berkelman, 1988) .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건강 사건들(Rutstein 등, 1984; Baker 등, 1988; Baker, 1989; Mullan 과 Murthy, 1991)과 유해 인자들(Froines 등, 1989)이 감시되어야 하는데, 이 러한 감시 대상 순위와 가용 자원 활용에 대한 것도 지역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도 지방자치제도가 정착됨에 따라 지역주민의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 지방 정부 차원의 역할이 점 차 중요해지고 있다. 범국가적인 차원의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의 노력은 체제 자체가 가지는 획일성 때문 에 각 지역 고유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게 되어 비 효율적일 수 있으므로, 지역단위의 질병예방과 건강 증진을 위한 노력이 모여져서 국가적 사업으로서의 평가를 받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지역 사업 장에서의 여러 여건들과 그 지역 일반의료체계 및 산 업보건의료체계 등을 고려하여 지역직업성질환 감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전국 단위 직업성질환 감시체 계 구축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라고 생각된다. 지금 여러 지역에서 시도되고 있는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도 이러한 지역적인 특수성을 감안한 독특한 형태를 가 지고 있다. 이러한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가 기반 이 될 때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도 가능해지리라 생각된다. 이 글에서는 최근에 활발히 시도되어온 인천, 대 전, 구미, 여천, 부산-울산-경남(부울경) 등 5개 지 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현황, 특성과 감시 방법론 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향후 본격화될 지역 직업성질 환 감시체계의 과제 및 전망들을 검토해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