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전체 현장직 소방공무원만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현장직 소방공무원 17,457명을 대상으로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척도 단축형(KOSS-24)과 자기보고형 우울 척도인 CES-D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우울 점수(CES-D)는 12.2±9.6점이고 우울 증상이 있는 대상은 3,345명(19.2%)이었다. 직무불안정(OR=2.70, 95% CI=2.45~2.98)과 보상부적절(OR=2.41, 95% CI=2.18~2.65), 직장문화(OR=2.38, 95% CI=2.15~2.63)이 우울 증상과 유의하게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였고, 직무요구(OR=1.89, 95% CI=1.69~2.10), 직무자율(OR=1.14, 95% CI=1.03~1.25), 관계갈등(OR=2.05, 95% CI=1.87~2.26), 조직체계(OR=1.83, 95% CI=1.66~2.02)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알코올 의존자에서 우울증과 강력한 관련성을 보였다(OR=2.39, 95% CI=2.07~2.77). 결론: 소방공무원의 우울 증상을 줄이기 위해 직무 스트레스 요인들과 알코올 의존율을 개선하려는 중재 노력이 필요하며 향후 이 중재 효과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ield firefighters. Methods: We carried out a survey of 17,457 field firefighters using the KOSS-24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24) and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Results: The mean CES-D score was 12.2±9.6 and 19.2% of subjects had depressive symptoms. Job insecurity (OR=2.70, 95% CI=2.45~2.98) and lack of reward (OR=2.41, 95% CI=2.18~2.65), occupational climate (OR=2.38, 95% CI=2.15~2.63)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Job demand (OR=1.89, 95% CI=1.69~2.10), insufficient job control (OR=1.14, 95% CI=1.03~1.25), interpersonal conflict (OR=2.05, 95% CI=1.87~2.26) and organizational system (OR=1.83, 95% CI=1.66~2.02)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lcohol dependence had a stronger association than with normal subjects (OR=2.39, 95% CI=2.07~2.77). Conclusions: In field firefighters, job stress factors and alcohol dependence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 intervention to reduce job stress and alcohol among field firefighters is needed to reduce depression in this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