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이 연구는 수도권과 지방에서 종사하는 은행업 종사자에서 우울증상의 유병실태를 알아보고 감정적 노력과 감정부조화의 우울증상에 대한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근로자 수 3,000인 이상의 3개 은행에서 근무하는 2,346명의 노동자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을 이용하여 사회인구학적, 건강행태, 직무 특성, 감정노동, 우울증상을 평가하였다. 우울증상과 감정적 노력, 감정부조화의 관련성을 파악하기위해 단변량 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은행업 종사자의 우울 증상률은 20.6%였다. 감정노동 고위험군의 우울 증상에 대하여 개인적 특성을 보정하여 우울증상자군에 대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에서는 감정적 노력(OR 1.5, 95% CI=1.04~2.08), 감정부조화(OR 4.5, 95% CI=3.13~6.44) 여성에서는 감정적 노력(OR 1.9, 95% CI=1.33~2.75), 감 정 부 조 화 (OR 6.1, 95% CI=4.12~9.09) 등 감정적 노력과 감정부조화 모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감정적 노력과 감정부조화 모두 우울 증상의 유병위험에 높은 관련성을 보였으며 감정노동 중 특히 감정부조화는 우울증상의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로 판단된다.
Objectives: W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depression and emotional labor to investigate the mental health status of workers.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a total of 2,346 workers among bankers were our study subject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socio-demographics, job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We us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he symptoms of depress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the survey subjects was 20.6%.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emotional effort (OR: 1.7, 95% CI=1.28~2.31) and, emotional disharmony (OR: 4.5, 95% CI=3.13~6.44) in men and emotional effort (OR: 1.9, 95% CI=1.33~2.75), emotional disharmony (OR: 6.1, 95% CI=4.12~9.09) in wome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ymptoms of depress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disharmony and emotional effort are related to symptoms of depression. Managing emotional disharmony is important in managing symptoms of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