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가을학술대회
초대의 글
학술대회 공지
질의응답
일정
장소
사전등록
사전등록안내
사전등록
사전등록확인
초록등록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
초록접수확인
2019년도 제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목) ~ 11월 9일(토)
대구 엑스코(EXCO)
2019가을학술대회 사전등록
초록상세
발표자 및 제1저자 이름
이메일
소속
저자등록
저자추가
순번
이름
소속
분야
선택하세요
산업보건정책
환경의학
독성학
사회심리적요인
직업성근골격계질환
직업성호흡기질환
직업성심혈관계질환
직업성정신질환
농업인의 건강
직업환경역학
informal worker
기타
발표방식
선택하세요
구연
포스터
심포지움
keynote
전체발표
제목
연구목적
정신질환은 유전적, 생물학적, 환경적인 위험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적 위험요인 가운데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질환과의 연관성이 밝혀져 있으나, 주요우울장애, 불안장애 등에 국한되어 있으며, 유병률이 낮은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개 반도체 부품 제조 사업장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7년 4월 부산 소재의 일개 반도체 부품 제조 사업장에서 수행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 단면연구이다. 총 460명의 대상자에서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및 한국형기분장애 질문지(Korean Version Mood Disorder Questionnaire)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차분석 결과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와 유의한 차이는 나이, 성별, 직종, 흡연여부, 음주 수준, 직무스트레스에서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세부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는 직무요구, 직무불안정, 직장문화에서 보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총점에서 고위험군이 직무스트레스 저위험군에 비해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 영향이 높았다 (OR 2.31, 95% CI 1.10-4.88)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의 세부항목 중 직무요구(OR 2.56 CI 1.27-5.17), 직무불안정(OR 4.42, CI1.19-16.42), 직장문화(OR 2.55, CI 1.29-5.05) 세 영역의 고위험군이 저위험군에 비해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 영향이 높았다.
고찰
본 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 총점, 직무요구, 직무불안정, 직장문화 고위험군이 저위험군에 비해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 영향이 높았다. 일반적으로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는 유병률이 낮고 관심이 부족해 사회적으로 이를 예방하려는 시도가 드물었다.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를 앓고 있는 근로자는 직장생활 및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예방을 위해 직무스트레스 관리 필요성이 있다.
키워드
초록파일(기존)
첨부파일다운
초록파일(신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