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가을학술대회
초대의 글
학술대회 공지
질의응답
일정
장소
사전등록
사전등록안내
사전등록
사전등록확인
초록등록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
초록접수확인
2019년도 제63차
대한직업환경의학회 가을학술대회
2019년 11월 7일(목) ~ 11월 9일(토)
대구 엑스코(EXCO)
2019가을학술대회 사전등록
초록상세
발표자 및 제1저자 이름
이메일
소속
저자등록
저자추가
순번
이름
소속
분야
선택하세요
산업보건정책
환경의학
독성학
사회심리적요인
직업성근골격계질환
직업성호흡기질환
직업성심혈관계질환
직업성정신질환
농업인의 건강
직업환경역학
informal worker
기타
발표방식
선택하세요
구연
포스터
심포지움
keynote
전체발표
제목
연구목적
현재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 납과 그 무기화합물에 노출되는 작업부서 전체 근로자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주기는 1년에 1회 이상으로 하고 있으며 30㎍/100㎖ 이상인 경우를 요관찰자로 진단하여 관리하고 있다. 자동차 배터리 제조 사업장에서 보다 적극적인 보건관리를 하고자 혈중 납 농도 10㎍/100㎖ 이상인 근로자를 요관찰자로 선정하고, 혈중 납 농도를 10㎍/100㎖ 미만이 되도록 교육과 보건관리를 시행하였다. 이에 혈중 납 농도 관리에 유효한 논문, 문헌 등 자료를 수집하여 프레젠테이션 교육자료를 만들고, 효과적으로 혈중 납 농도 및 납에 의한 인체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법들을 실천 체크리스트 형태로 개발하였다. 혈중 납 관리 보건교육만 받은 근로자와 보건교육 후 실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실천을 독려한 혈중 납 농도 10㎍/100㎖ 이상인 근로자의 혈중 납 농도를 비교하여 실천 체크리스트의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자동차 배터리 제조 사업장에서 납을 취급하는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혈중 납 농도 관리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 특수 건강진단을 받은 224명 중 2018년 혈중 납 농도 10㎍/100㎖ 이상인 61명을 대상으로 혈중 납 농도 관리 실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도록 하고, 보건 담당자와의 토의식 면담을 통해 스스로 개선계획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후 작성된 개선계획의 실천 여부를 확인하고, 실천을 독려하는 활동을 1년간 하였다. 2018년 혈중 납 농도 10㎍/100㎖ 이상인 61명의 실천 체크리스트 작성 및 실천 독려활동 전 혈중 납 농도와 스스로 작성한 개선계획의 실천 후 2019년 혈중 납 농도를 비교하였다. 전후 혈중 납 농도 분석에는 대응 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을 실시한 사업장 근로자 전체 224명의 2018년 교육 전 평균 혈중 납 농도는 8.42㎍/100㎖, 2019년 교육 후 평균 혈중 납 농도는 9.11㎍/100㎖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0) 혈중 납 농도 10㎍/100㎖ 이상 근로자 61명의 실천 체크리스트 작성 전인 2018년 평균 혈중 납 농도는 12.13㎍/100㎖, 실천 체크리스트 작성 및 스스로 작성한 개선계획의 실천 후인 2019년 평균 혈중 납 농도는 11.33㎍/100㎖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26) 혈중 납 농도 10㎍/100㎖ 이상 근로자 1인당 작성한 평균 개선계획 개수는 2.5개, 평균 실천율은 52.5%였다. 사업체의 납 작업환경측정결과는 2018년 0.0115㎍/㎥, 2019년 0.0093㎍/㎥으로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고찰
이번 연구로 개발된 “혈중 납 농도 관리 실천 체크리스트”를 납을 취급하는 근로자들이 활용하여, 스스로의 실천 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게 하였다. 작성한 실천계획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게 독려하는 활동을 하였다. 일반적인 보건교육만이 아닌 실질적인 실천을 유도하는 실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고, 지속적인 실천을 독려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유의한 혈중 납 농도 감소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키워드
초록파일(기존)
첨부파일다운
초록파일(신규)
확인